부루마블과 모노폴리의 가장 큰 차이점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3,018 조회
- 목록
본문
부루마블은 모노폴리의 국산 아류작임.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부루마블만 해보고 모노폴리는 안해본 사람이 많고,
모노폴리도 부루마블처럼 하는 사람이 많음.
모노폴리의 가장 큰 특징은 건물 세우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움.
부루마블은 땅 밟자마자 or 두번째 밟을때부터 건물을 세울 수 있지만,
모노폴리는 같은 색깔 땅을 전부 소유해야만 건물을 세울 수 있음. (땅은 바로 구매 가능)
머릿 속에 이런 생각이 들 거임. '주사위만으로 같은 색깔 땅 3개를 전부 먹는 게 가능하나? 너무 하드코어한 거 아냐?'
하지만 모노폴리의 진가는 여기서 드러남.
룰적으로 금지된 몇가지 빼고 게임에 있는 모든 것을 거래할 수 있음.
'내 땅 100에 샀는데 너한테 300에 팜'
'감옥 탈출 카드 500에 넘겨줌'
'지금 1000 미리 줄테니까 내가 니 땅 밟았을때 패스시켜줘'
모노폴리에선 색깔을 하나만 독점해도 괴물이 되기 때문에
분홍땅 2개만 갖고 있어도 딜을 걸 수 있게 됨. '너 분홍땅 2개 갖고 있는데 가격 5배로 살테니 파셈' 이런 식.
모노폴리의 승리 조건은 상대가 돈이 없어져야 함. 땅 다 내가 먹는다고 안이김.
상대의 돈을 교묘하게 쪽쪽 빨아먹어야 승리에 더 가까워지는 게임.
근데 부루마블에선 이 핵심 요소가 없어서 그저 주사위 굴리는 게임으로 전락함.
외국의 어린이들은 모노폴리를 하면서 협상력을 배움. '어떻게 하면 나도 이득을 보지만 상대도 이득을 보면서 거부할 수 없을까'를 자연스럽게 게임으로 배움.
근데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모노폴리를 하면 높은 확률로 협상을 안하고 싸움이 자주 남.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부루마블만 해보고 모노폴리는 안해본 사람이 많고,
모노폴리도 부루마블처럼 하는 사람이 많음.
모노폴리의 가장 큰 특징은 건물 세우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움.
부루마블은 땅 밟자마자 or 두번째 밟을때부터 건물을 세울 수 있지만,
모노폴리는 같은 색깔 땅을 전부 소유해야만 건물을 세울 수 있음. (땅은 바로 구매 가능)
머릿 속에 이런 생각이 들 거임. '주사위만으로 같은 색깔 땅 3개를 전부 먹는 게 가능하나? 너무 하드코어한 거 아냐?'
하지만 모노폴리의 진가는 여기서 드러남.
룰적으로 금지된 몇가지 빼고 게임에 있는 모든 것을 거래할 수 있음.
'내 땅 100에 샀는데 너한테 300에 팜'
'감옥 탈출 카드 500에 넘겨줌'
'지금 1000 미리 줄테니까 내가 니 땅 밟았을때 패스시켜줘'
모노폴리에선 색깔을 하나만 독점해도 괴물이 되기 때문에
분홍땅 2개만 갖고 있어도 딜을 걸 수 있게 됨. '너 분홍땅 2개 갖고 있는데 가격 5배로 살테니 파셈' 이런 식.
모노폴리의 승리 조건은 상대가 돈이 없어져야 함. 땅 다 내가 먹는다고 안이김.
상대의 돈을 교묘하게 쪽쪽 빨아먹어야 승리에 더 가까워지는 게임.
근데 부루마블에선 이 핵심 요소가 없어서 그저 주사위 굴리는 게임으로 전락함.
외국의 어린이들은 모노폴리를 하면서 협상력을 배움. '어떻게 하면 나도 이득을 보지만 상대도 이득을 보면서 거부할 수 없을까'를 자연스럽게 게임으로 배움.
근데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모노폴리를 하면 높은 확률로 협상을 안하고 싸움이 자주 남.
한국인들이 모노폴리와 안맞는 이유는 아무리 내가 가난해도 절대 남한테 같은 색깔 땅 안넘겨주기 때문인데, 내가 망하는거보다 남이 잘되는게 더 짜증내하기 때문에...
사실 그래서 협상을 해야하는데 그걸 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많음.
모노폴리는 '어떻게 하면 나도 이득을 보지만 상대도 손해를 보지 않을 제안을 할 수 있을까?'를 계속 생각을 해야함.
모노폴리를 부루마블하듯이 해버리면,
건물 세우는 조건이 너무 빡세지고, 조건 무시하고 건물을 올리면 너무 쉽게 파산이 나버림.
그래서 주사위도 주사위지만 협상이 기본인 보드게임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